[Django] 전체적인 경로 흐름
·
Django
장고를 독학으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어진대로 코딩을 하며 구현은 할 수 있었지만 전체적인 흐름이 익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생활코딩님의 장고 강의를 보게 되었고, 설명을 정말 잘 해주셔서 이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의 경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 그 안에 구성된 여러 앱들이 있습니다. 이 앱들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로, 프로젝트를 만들게되면 Project 파일 안에 urls.py라는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을 프로젝트 안에서 구현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App안에서 구현하게 됩니다. App은 프로젝트가 복잡해지지 않도록 서로 연관된 로직들을 모아서 그룹화 시켜 놓은 것입니다. 각각의 App들도 urls.py라는 파일을 갖..
[MariaDB] 1_데이터베이스와 DBMS란
·
데이터베이스 [DB]
핵심 개념1. 데이터베이스란 '대용량의 데이터 집합을 체계적으로 구성해 놓은 것'2. DBMS 유형: 계층형DBMS, 망형DBMS, 관계형DBMS, 객체지향형DBMS, 객체관계형DBMS3.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집합- 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운영하는 역할- 소프트웨어의 개념  특징1. 데이터의 무결성- 데이터는 어떤 경로를 통해 들어왔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어서는 안된다.2. 데이터의 독립성-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데이터 파일의 저장소를 변경하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3. 보안-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이나 데이터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만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python] codeup 1281-
·
Code up/단순 반복문
#1281 : 홀수는 더하고 짝수는 빼고 3 a,b = map(int, input().split()) result = 0 for i in range(a,b+1): if i % 2 !=0: if a==i: print(str(i),end='') result += i else: print('+' + str(i),end ='') result += i elif i % 2 ==0: print('-' + str(i),end='') result -= i print('=' + str(result)) #1282 : 제곱수 만들기 import math n = int(input()) for i in range(1,n+1): t = math.sqrt(n-i) if t==round(t,1): print(i,int(t)) brea..
[python] codeup 1261-1280
·
Code up/단순 반복문
#1261 : First Special Judge (Test) n = map(int, input().split()) n = list(n) b=0 for i in n: if i%5==0: print(i) break else: b+=1 if b==len(n): print(0) #1265 : 구구단 출력하기 1 n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d*%d=%d"%(n,i,i*n)) #1266 : n개의 수의 합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 = 0 for i in range(len(a)): result += a[i] print(result) #1267 : n개의 수 중 5의 배수의 합 ..
[python] 코드업 기초100제_1091-1099
·
Code up/코드업 기초 100제
#1091 : [기초-종합] 수 나열하기3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 -1 3 -5 11 -21 43 ... 은 1부터 시작해 이전에 만든 수에 -2를 곱한 다음 1을 더해 다음 수를 만든 수열이다. 이런 이상한 수열을 알게 된 영일이는 또 궁금해졌다. "그럼.... 13번째 나오는 수는 뭘까?" 영일이는 물론 수학을 아주 잘하지만 이런 문제는 본 적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더 큰 수도 자동으로 계산하고 싶어졌다. 시작 값(a), 곱할 값(m), 더할 값(d),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입력될 때, n번째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시작 값(a), 곱할 값(m), 더할 값(d), 몇 번째 인지를 나타내는 정..
[python] 코드업 기초100제_1081-1090
·
Code up/코드업 기초 100제
#1081 : [기초-종합] 주사위를 2개 던지면? 1부터 n까지, 1부터 m까지 숫자가 적힌 서로 다른 주사위 2개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출력해보자. 입력 주사위 2개의 면의 개수 n, m이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단, n, m은 10이하의 자연수 출력 나올 수 있는 주사위의 숫자를 한 세트씩 줄을 바꿔 모두 출력한다. 첫 번째 수는 n, 두 번째 수는 m으로 고정해 출력하도록 한다. 입력 예시 2 3 출력 예시 1 1 1 2 1 3 2 1 2 2 2 3 a, b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1,a+1): for j in range(1,b+1): print(i, j) #1082 : [기초-종합] 16진수 구구단? 16진수(0, 1, 2,..
[python] 코드업 기초100제_1071-1080
·
Code up/코드업 기초 100제
#1071 :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1 정수가 순서대로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7, 단 개수는 알 수 없다. 0이 아니면 입력된 정수를 출력하고, 0이 입력되면 출력을 중단해보자. while( ), for( ), do~while( ) 등의 반복문을 사용할 수 없다. 입력 정수가 순서대로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7, 단 개수는 알 수 없다. 출력 입력된 정수를 줄을 바꿔 하나씩 출력하는데, 0이 입력되면 종료한다. (0은 출력하지 않는다.) 입력 예시 7 4 2 3 0 1 5 6 9 10 8 출력 예시 7 4 2 3 a = map(int, input().split()) for i in a: if i != 0: pri..
[python] 코드업 기초100제_1061-1070
·
Code up/코드업 기초 100제
#1061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OR 하여 출력하기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or, vertical bar, 버티컬바)를 사용하면 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1062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XOR 하여 출력하기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x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xor, circumflex/caret, 서컴플렉스/카릿)를 사용하면 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1063 : [기초-삼항연산] 두 정수 입력..
coder_
Good co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