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개념
1. 데이터베이스란 '대용량의 데이터 집합을 체계적으로 구성해 놓은 것'
2. DBMS 유형: 계층형DBMS, 망형DBMS, 관계형DBMS, 객체지향형DBMS, 객체관계형DBMS
3.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집합
- 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운영하는 역할
- 소프트웨어의 개념
특징
1. 데이터의 무결성
- 데이터는 어떤 경로를 통해 들어왔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어서는 안된다.
2. 데이터의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데이터 파일의 저장소를 변경하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보안
-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이나 데이터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만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4.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개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5. 응용 프로그램 제작 및 수정이 쉬워짐
- 통일된 방식으로 응용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해진다.
6. 데이터의 안전성 향상
- 백업/복원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원상으로 복원 또는 복구하는 방법이 명확해진다.
DBMS 분류
1. 계층형 DBMS
각 계층은 Tree형태를 가지며, 1:N 관계를 갖는다.
문제점: 구조 변경이 까다롭다. 접근의 유연성이 부족해 임의의 검색에 어려움
2. 망형 DBMS
1:N, N:M 관계가 지원되며, 효과적이고 빠른 데이터 추출이 가능해짐
문제점: 복잡한 내부 포인터 사용, 프로그래머가 모든 구조를 이해해야 프로그램의 작성이 가능함
3. 관계형 DBMS(RDBMS)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이라 불리는 최소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데이터가 테이블에 저장되기 때문에, 테이블이 가장 중요한 구성이 된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하나의 테이블이 아닌 여러개의 테이블로 나누어 담음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데이터의 저장 효율성을 보장해 준다.
장점: 변화에 순응할 수 있는 구조, 편리한 유지보수, 대용량 데이터 관리, 데이터 무결성 보장
문제점: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해 시스템이 느려짐 ->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많이 보완됨
'데이터베이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암호화 Transparent Data Encryption (TDE) (0) | 2024.08.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