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인증과 인가를 위해 jwt와 session, 쿠키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들의 차이점을 모르는 분들이 많아 혼란스러워하고 계실 것입니다. 이번에는 jwt, session, 쿠키의 차이점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wt와 session, 쿠키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토큰입니다. jwt는 서버에서 발급하며, 발급된 토큰은 클라이언트에 저장됩니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토큰을 함께 전송하며, 서버는 이를 검증하여 인증과 인가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고, CORS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반면, session과 쿠키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session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한 고유한 ID를 쿠키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지만, 서버의 부하가 커질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쿠키를 발급하면, 클라이언트는 이를 저장하고, 이후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쿠키를 함께 전송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고, 성능도 우수합니다. 하지만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jwt와 session, 쿠키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jwt의 장점은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또한 CORS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jwt는 토큰을 클라이언트에 저장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session의 장점은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서버의 부하가 커질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쿠키의 장점은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고, 성능도 우수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jwt와 session, 쿠키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요?
jwt, session, 쿠키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보안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session을 사용하고, 서버의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경우에는 jwt나 쿠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CORS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jwt나 쿠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jwt, session, 쿠키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보안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session을 사용하고, 서버의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경우에는 jwt나 쿠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CORS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jwt나 쿠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식들을 잘 이용하여 보안성과 성능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컴퓨터 과학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pache upgrade] 2.4.55 -> 2.4.60 version 업그레이드 (CentOS 7.9.2009) (1) | 2024.12.26 |
|---|---|
| [Linux] Windows 11 에서 WSL 로 Ubuntu 설치 (1) | 2024.08.02 |